Source

학습 프레임워크

  1. 소비 (CCC)
    • Color Bath Effect: 해결하려는 문제를 명확히 하고 집중하면서 정보를 읽을 것. 관심 있는 것이 눈에 잘 들어오는 것과 같은 원리
    • Curiosity: 목차를 먼저 보며 자연스럽게 궁금증을 유발하여 호기심에 근거한 읽기
    • Capture: 유용한 모든 정보를 놓치지 않고 즉시 수집
  2. 소화 (PACER)
    • P - 절차형 정보 (코딩 / 언어)
      • 학습 전략? > 즉시 연습과 실전 적용. 읽기만 하지 않고 반드시 직접 해볼 것. 반드시 직접 할 시간이 없다면 정보 습득을 멈추는 것이 더 나음
      • TODO 항목을 만들어 빠르게 해결하는 것이 중요
    • A - 유사형 정보 (비유 / 예시)
      • 학습 전략? > 기존 지식과 연결 및 비판적 검토 > 비유가 적절한지, 맞지 않는 경우는 언제가 있는지, 더 좋은 비유는 없을지 등…
    • C - 개념형 정보 (이론 / 원리)
      • 학습 전략? > 구조화 (마인드맵 / 목차 작성)
      • 책이나 강의 등을 볼 때에 개념들 간의 관계와 전체 구조를 파악하는 시간을 별도로 가질 것
    • E - 근거형 정보 (통계 / 사례)
      • 학습 전략? > 수집 및 실제 활용해보기 (반복). 이런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글을 쓰거나, 무언가 작업을 하거나…
    • R - 참고형 정보 (구체적 데이터)
      • 학습 전략? > 수집 및 간격을 둔 반복. 암기를 위해서는 암기 카드 등을 주기적으로 보는 것이 장기기억화에 도움

Note

  • 핵심은 소비와 소화의 균형. 정보를 무작정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소화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필요
  • 학습 전략은 즉시 적용되어야 함. 특히 절차형 정보는 바로 연습하지 않으면 금세 잊혀짐
  • 시스템화 > 매번 이 흐름을 생각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는 학습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

References